다문화적 특성의 혼합분포군집 유형에 따른 초국적 이주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요소 분류예측 - 혼합분포군집분석과 CARET 중심 -Predicting the Classification of Psychosocial Factors of Children of Transnational Migrants According to the Type of Mixed Distribution Cluster of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 Analysis of Mixed Distribution Cluster and CARET -
- Other Titles
- Predicting the Classification of Psychosocial Factors of Children of Transnational Migrants According to the Type of Mixed Distribution Cluster of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 Analysis of Mixed Distribution Cluster and CARET -
- Authors
- 강해순; 김현옥; 김소형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사회복지학회
- Keywords
- 초국적 이주자 자녀; 다문화적 특성; 다중대체법; 혼합분포군집; CARET;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Transnational Migrant Children;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multiple replacement laws; Mixed Distribution Groups; CARET; Multicultural Youth Panel Survey (MAPS)
- Citation
- 한국사회복지학, v.74, no.1, pp.79 - 106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사회복지학
- Volume
- 74
- Number
- 1
- Start Page
- 79
- End Page
- 106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536
- DOI
- 10.20970/kasw.2022.74.1.004
- ISSN
- 1229-5132
- Abstract
- 본 연구는 초국적 이주자 자녀의 다문화적 특성 요인과 관련한 분류예측모형과 분류예측에 관여하는 심리사회적 변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분석도구는 다중대체법과 혼합분포군집, R의 CARET을 활용하여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제8차 년도(2018년) 데이터자료(고 2년 1,197명, 남 587명, 여 610명)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분포군집분석을 통해 다문화특성 유형은 크게 초국가적 특성 군집과 단일민족 특성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초국가적 특성 군집이 단일민족 특성 군집에 비해 국가 정체성이 낮고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다문화 수용성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t 검정 결과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우울, 사회적 위축, 현재 고민 및 걱정거리가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중요변수는 우울, 자아존중감, 현재 고민 및 걱정거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사회복지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