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롤 조사와 주파수특성을 이용한 제주도 서북 해역의 고등어와 전갱이 생물량 추정에 관한 예비 연구A pilot study on estimating the biomass of chub mackerel and jack mackerel in the northwestern sea of Jeju Island using trawl surve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 Other Titles
- A pilot study on estimating the biomass of chub mackerel and jack mackerel in the northwestern sea of Jeju Island using trawl survey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 Authors
- 강명희; 민은비; 김병엽; 이창헌; 강태종; 오태건; 임병권; 황두진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 Keywords
- 주파수반응; 트롤조사; 과학어탐기; 제주도; 고등어; Frequency response; Trawl survey; Echosounder; Jeju Island; Mackerel
- Citation
- 수산해양기술연구, v.58, no.1, pp.049 - 05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수산해양기술연구
- Volume
- 58
- Number
- 1
- Start Page
- 049
- End Page
- 05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485
- DOI
- 10.3796/KSFOT.2022.58.1.049
- ISSN
- 2671-9940
- Abstract
- 제주도 서북 해역에서 2020년 9월과 10월에 각각 음 향과 트롤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 전체 조사 해역 중에 제주 구역이라고 선정한 구역을 대상으로 트롤 조사법과 주파수차법을 이용하여 고등어와 전갱이의 생물량을 추정하여 비교하였다. 9월 조사에서 트롤 어획 총중량에 서 전갱이와 고등어의 중량 비율은 각각 24.6%와 2.8%, 10월 조사에서의 트롤 어획 총중량에서 이 두 종의 중량 비율은 24.9%와 20.7%로, 이 비율을 이용하여 생물량을 추정하였다(트롤 조사법). 음향 데이터 중에서 120과 200 kHz의 음향 산란강도 값의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대상 종에 해당되는 주파수차범위(–8~–3 dB) 를 이용하여 생물량을 구하였다(주파수차법). 그 결과, 트롤 조사법을 이용한 대상종의 생물량은 9월에는 3252.3 tons, 10월에는 5777.0 tons이었다. 주파수차법으 로 구한 생물량은 9월에는 4926.6 tons, 10월에는 7521.5 tons이었다. 이 두 방법을 이용한 추정한 고등어와 전갱 이의 생물량은 다소 차이는 있으나, 우리나라에서 최초 로 이 두 방법을 비교하는 예비 연구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파수차법을 이용하여 어류의 정도 높은 생물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해양과학대학 > Department of Maritime Police and Production System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