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기업발 스핀오프 창업 실태분석과 정책과제 -정부의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을 중심으로-Analysis of Corporate Spin-off Start-ups Status and Policy Tasks in South Korea

Other Titles
Analysis of Corporate Spin-off Start-ups Status and Policy Tasks in South Korea
Authors
양현봉박종복
Issue Date
2022
Keywords
스핀오프 창업; 사내벤처; 실태조사; 창업정책; Spin-off start-up; In-house venture; Status analysis; New business creation policy
Citation
중소기업금융연구, v.42, no.1, pp 61 - 90
Pages
30
Indexed
KCI
Journal Title
중소기업금융연구
Volume
42
Number
1
Start Page
61
End Page
90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451
DOI
10.33219/jsmef.2022.42.1.003
ISSN
2093-8039
Abstract
정부가 기술기반 창업 활성화를 위한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함에 따라 스핀오프 창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질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발 스핀오프 창업 활성화가 중요하다는 전제 아래, 스핀오프 창업의 개념 및 특성에 관한 고찰과 함께, 기업발 스핀오프 창업기업 202개사를 대상으로 창업기업의 일반현황, 창업배경 및 영향요인, 창업활동 실태 및 애로요인, 정부의 지원제도 활용실태 및 문제점, 스핀오프 창업 활성화 및 지원제도 개선 등을 조사하고, 조사 결과에 대해 분산분석과 교차분석 위주의 기술적 분석을 거쳐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주요한 분석 결과를 보면, 기업발 스핀오프 창업이 일반창업에 비해 기술,지식집약적인 부문에서 보다 많이 배태되고, 신기술(제품) 집약적 분야에서 40대 중심으로 창업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직장 근무 경험이 창업 의사결정에 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자의 창업 결정 이유는 개인적 야망, 성공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조사되었고, 창업 애로사항은 판로 및 창업자금 확보 등으로 나타났으며, 스핀오프 창업 지원제도 활용에 따른 문제점으로 지원제도 부족, 모기업에 대한 금융세재지원 미흡 등이 지적되었다. 또한, 스핀오프 창업지원제도에 대한 인지도, 활용도, 만족도가 높지 않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기업발 스핀오프 창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창업정책 대상의 선택과 집중(기술창업 중심), 스핀오프 창업 활성화 분위기 확산 및 특화된 정책금융 확충 등의 체계쩍 지원제도 마련, 사내벤처 육성 프로그램 운영의 실효성 제고 등이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경영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ong Bok photo

Park, Jong Bok
경영대학 (경영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