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식량작물 생산에 대한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발전 방향 - 전문가 설문조사 연구Development of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for Food Crop Production in Korea-The Path Forward Based on Expert Feedback

Other Titles
Development of Smart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for Food Crop Production in Korea-The Path Forward Based on Expert Feedback
Authors
송선화정재경조승호김재윤심상인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작물학회
Keywords
Keywords : crop production; digital agriculture technology;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farm
Citation
한국작물학회지, v.67, no.1, pp.27 - 40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작물학회지
Volume
67
Number
1
Start Page
27
End Page
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435
ISSN
0252-9777
Abstract
적 요정부는 4차산업혁명의 선도사업으로 농업 부분의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사업을 지정하였다. 이에 한국 작물학회에서는 우리나라 식량작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작물 분야 및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관련자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설문조사 결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은 한국 농업의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며 노지스마트디지털농업기술 발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개발에 따른 핵심 인력 양성 및 지속적인 정부의 관심과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설비 구축 및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농업 선진국들의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연구 및 개발 수준은 현장 적용 및 검증단계, 실용화 단계이나 우리나라는 아직 기술개발 단계에머무르고 있다. 고령화나 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을 위해선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 확산을위해서는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등이 필요하고 농민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기술 교육이 필요하며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장비-데이터의표준화가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나아가 소비자와다른 농산업 현장에도 적용되어 디지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성을 가지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노지스마트디지털 농업기술의 도입 및 성공적인 정착은 기후변화대응, 농업의 친환경성 증진, 노동력 부족의 해소에 기여할수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작물 생산 능력 제고를 통한 식량안보 강화 측면에서도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농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him, Sang In photo

Shim, Sang In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