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택지개발지구 개발이익 배분실태 분석 - 수도권 공공택지지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e of Development Profit to Residential Development Site -Focusing on the Public Residential Site for Multi-Family Housing in Capital Region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stribution State of Development Profit to Residential Development Site -Focusing on the Public Residential Site for Multi-Family Housing in Capital Region -
Authors
고윤석안정근배민철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주거환경학회
Keywords
Development Profits; Residential Site Development; Multi-Family Housing; 개발이익; 택지개발; 공동주택
Citation
주거환경, v.20, no.1, pp 73 - 84
Pages
12
Indexed
KCI
Journal Title
주거환경
Volume
20
Number
1
Start Page
73
End Page
84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406
ISSN
1738-0316
2508-3961
Abstract
우리나라 경제성장 압축의 부작용으로 개발이익에 대한 갈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개발이익의 공정한 배분만이 갈등의 궁극적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별내신도시 사례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공정한 분배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공공택지개발사업자의 경우 부지개발이익이 매우 적으며 개발이익의 대부분이 주택건설업자와 주택구매자에게 돌아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개발이익 분배에서 공공사업을 위해 삶의 터전을 포기하는 원주민을 배제하는 것은 정당하지 않다. 공공택지개발자의 이익이 개발이익의 사회화 과정으로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주택건설업자의 과도한 이익에 대해서는 명분이 없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이 도출되었다. 개발수익을 원주민과 공유하기 위하여 그들에게 주택구입기회 확대와 양도소득세 면제를 통해 공공사업의 정당성을 높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주택건설 단계에서 개발이익의 사회화를 위해서는 공공부문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도시공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