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의 양액 염분 농도 및 생육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Nutrient Solution Salinity and Growth Statu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
- Other Titles
- 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Nutrient Solution Salinity and Growth Status of 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
- Authors
- 양명균; 염문선; 조우재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Keywords
- Glehnia littoralis; Growth monitoring; Halophytes; Salinity monitoring; 갯방풍; 생육 모니터링; 염분 농도 모니터링; 염생식물
- Citation
- 농업생명과학연구, v.56, no.2, pp.117 - 127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농업생명과학연구
- Volume
- 56
- Number
- 2
- Start Page
- 117
- End Page
- 127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369
- ISSN
- 1598-5504
- Abstract
- 최근 농지 및 수자원의 염류화로 인해 염생식물에 대한 작물화와 생육 조건 구명을 위한 연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재배 조건변화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기능성 성분 변화 분석을 위해서는 양액 및 작물 생육부 시료를 채취하여 이를 전처리 및 분석해야 하여 시간적, 인적 자원의 소모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최적 생육 조건 구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비파괴적으로 재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작물 생육부와 수경재배 근권부의 염분 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을 통해 NaCl 0 mM, 50 mM, 150 mM, 300 mM의 4가지 농도 조건에서 갯방풍을 대상으로 재배실험을 수행한 결과, 재배 중 염분 농도 수치의 변화 및 염분 농도가 높을수록 생체중이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생육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발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결과에 상응하는 생체중 결과를 확인하여 염생식물의생육 모니터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단위 생체중 당 기능성물질 함량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나타나 갯방풍의 상업적 재배 조건의 구명을 위해서는 생체중 외에 기능성 성분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생물산업기계공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