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Effect of College Students’ Parentificat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ear of Intimac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ther Titles
Effect of College Students’ Parentification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Fear of Intimac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uthors
박성민양난미
Issue Date
2022
Publisher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eywords
Parentification; Interpersonal Problems; Fear of Intimacy;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부모화; 대인관계 문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Citation
지역과 세계, v.46, no.2, pp 181 - 206
Pages
26
Indexed
KCI
Journal Title
지역과 세계
Volume
46
Number
2
Start Page
181
End Page
206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295
DOI
10.33071/ssricb.46.2.202205.181
ISSN
2005-0828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대인관계를 돕기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을 295명을 대상으로 부모화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전국 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최종 설문지 28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이 부모화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이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화가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을 통해 대인관계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상담에 대한 시사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심리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ang, Nan Mee photo

Yang, Nan Mee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