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불안정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의 매개효과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resentation of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stability and Maladaptive Self-focusism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resentation of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stability and Maladaptive Self-focusism
- Authors
- 배동신; 서영선; 이아라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Keywords
- 대학생;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자존감 불안정성;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사회불안;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t self-presentation; self-esteem instability; maladaptive self-focusism; and social anxiety
- Citation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22, no.9, pp.123 - 13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Volume
- 22
- Number
- 9
- Start Page
- 123
- End Page
- 13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294
- DOI
- 10.22251/jlcci.2022.22.9.123
- ISSN
- 1598-2106
- Abstract
-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불안정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간의 중간기제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전국 소재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결측치를 제외한 336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자존감 불안정성 척도,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는 자존감 불안정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존감 불안정성은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와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도 사회불안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불안정성은 완전매개하였지만,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사회불안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는 매개 하지 않았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불안정성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가 이중매개 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높고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상담하고 교육하는 데 있어, 이들의 자존감 불안정성을 낮추고,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를 감소시키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심리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