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Conjugated linoleic acid 황갈색의 인체암세포와 인체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open accessLack of Cytotoxicity of the Colorant in Conjugated Linoleic Acid against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Other Titles
Lack of Cytotoxicity of the Colorant in Conjugated Linoleic Acid against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Authors
지유철안채린서양곤서정세김정옥하영래
Issue Date
2012
Publisher
한국생명과학회
Keywords
Conjugated linoleic acid; cytotoxicity; human cancer cells; human neuroblastoma cells; distillation
Citation
생명과학회지, v.22, no.8, pp 1099 - 1106
Pages
8
Indexed
KCI
Journal Title
생명과학회지
Volume
22
Number
8
Start Page
1099
End Page
1106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2930
DOI
10.5352/JLS.2012.22.8.1099
ISSN
1225-9918
2287-3406
Abstract
체지방감소 효과가 있는 시판 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의 색깔을 제거하고 이 색깔의 세포독성에 관한연구를 하였다. 황갈색의 시판 CLA 제품을 구입하여 crude CLA (c-CLA) 시료로 하였다. c-CLA 시료를 감압증류(10 mmHg-220℃, 10 mmHg-235℃, 10 mmHg-240℃, 20 mmHg-260℃; 30분)하여 증류된 CLA (distilled CLA;d-CLA) 시료와 증류되지 않고 남아있는 황갈색 CLA (residual CLA; r-CLA) 시료로 분리하였다. 10 mmHg-220℃에서 증류하여 얻은 d-CLA 시료의 색깔은 L (brightness), a (red/blue), b (yellow/green)로 분석한 결과 무색에가까웠고 r-CLA 시료는 황갈색이었고, 이들 두 CLA 시료의 CLA 이성체 조성은 변하지 않았다. 따라서 10mmHg-220℃에서 얻은 r-CLA 시료의 인체암세포(유방암 MCF-7. 폐암 A-549, 직장암 HT-29, 전립선암 PC-3)와인체 정상세포(신경모세포 SK-N-SH)에 대한 세포독성을 d-CLA 시료와 비교하였다. 이들 암세포와 정상세포에r-CLA 시료와 d-CLA 시료 처리 2일 후의 세포독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10 mmHg-220℃로 감압증류 하여 제거할 수 있었고, r-CLA 시료의 세포독성은 d-CLA 시료의 세포독성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CLA 시료에 함유된 색소는 세포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인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공과대학 > 화학공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uh, Jeong Se photo

Suh, Jeong Se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