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직업의 교육수준, 숙련기간, 그리고 작업강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직종별 적정임금Prevailing Wage for Each Occupations Analyzed Based on the Education Level, Skill Period, and Work Intensity

Other Titles
Prevailing Wage for Each Occupations Analyzed Based on the Education Level, Skill Period, and Work Intensity
Authors
김예지전두배이희재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문화융합학회
Keywords
적정임금; 결정요인; 다중선형회귀분석; 결정계수; 직종별 적정임금식; Prevailing Wage; Determining factors;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Prevailing Wage Equation for each Occupation
Citation
문화와융합, v.44, no.5, pp.919 - 932
Indexed
KCI
Journal Title
문화와융합
Volume
44
Number
5
Start Page
919
End Page
932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279
ISSN
2950-9742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각 직종마다 다른 고용 환경으로 인해 직종별로 차등화한 임금 분석이 전체직종을 대상으로 한임금 분석보다 다중회귀분석에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직종별로 교육수준, 숙련기간, 그리고 작업강도가임금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적정임금을 분석하고 직종별 적정임금식을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3가지 변수 중일부만 반영하여 회귀분석 하였을 때보다 모두 반영하여 회귀분석 하였을 때의 결정계수가 더 큰 값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업 전체로 분석한 결과보다 직종별로 구분하여 분석했을 때의 결정계수가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세분화될수록 임금 분석에 대한 설명력이 높아지며, 분석대상으로 전체 직업 데이터를 한꺼번에 활용하는 것보다 직종별로 세분화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설명력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직종별로 3가지 변수가 해당 직종의 임금에 주는 영향을각각 측정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자연과학대학 > 수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Jun, Doo Bae photo

Jun, Doo Bae
자연과학대학 (수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