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의 인성함양을 위한 이황의 거경궁리(居敬窮理)와 도(道)정신분석상담Examining Teachers' Personality Development through Toegye’s(退溪) Study of Jujingqiongli(居敬窮理)
- Other Titles
- Examining Teachers' Personality Development through Toegye’s(退溪) Study of Jujingqiongli(居敬窮理)
- Authors
- 장병희; 이경자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동아시아고대학회
- Keywords
- 퇴계 이황; 거경궁리(居敬窮理); 교사; 인성교육; 도(道)정신분석상담; Toegye; Yi Hwang(退溪李滉); Jujingqiongli(居敬窮理); teacher; personality; psychiatric analysis.
- Citation
- 동아시아고대학, no.66, pp.85 - 11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동아시아고대학
- Number
- 66
- Start Page
- 85
- End Page
- 11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230
- ISSN
- 1229-8298
- Abstract
- 본 연구는 교사의 인성함양을 위해 퇴계 이황의 거경궁리와 도정신분석상담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성리학과 퇴계의 사상은 자기수양을 통해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좋은 유산이다. 퇴계는 스스로 거경궁리를 통해 수신을 하였다. 거경은 몰입과 정신집중이다. 이를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궁리는 마음의 선한 본성을 자각하여 이해하는 것이다. 퇴계는 거경과 궁리를 호진(互進)하여 실천함으로 인성을 함양하고, 격물궁리를 감정을 다루는 문제로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대의 도정신분석상담과 통한다. 도정신분석상담도 환자의 감정을 정화하여 환자를 치료하고 인격을 성숙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퇴계는 인간의 선한 본성 즉 선한 감정을 거경을 통해 유지하고 궁리를 통해 이해하여 함양하였다. 도정신분석상담도 환자를 투사가 없고 현실과 착각을 일으키지 않는 감정 상태로 만들어 환자의 인성을 성숙시키고자 한다. 인격이 성숙한 치료자가 환자를 인격으로 치료하듯이 인격이 성숙한 교사는 학생을 성숙한 인격의 소유자로 성장시킨다. 교육에서 인성교육이 중요한 지금,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의 인성함양이 중요한 이유다. 이에 본고에서는 퇴계의 거경궁리를 이해하고, 퇴계의 거경궁리와 도정신분석상담을 비교하여 교사의 인성함양에 있어 퇴계의 거경궁리의 현대적 가치를 밝혔다. 끝으로 교사의 인성교육 함양과 연계하여 확대․발전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