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양산시 어곡터널 상단부 땅밀림지 특성에 관한 연구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creep in the Upper Part of the Eogok Tunnel, Yangsan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creep in the Upper Part of the Eogok Tunnel, Yangsan
Authors
박재현이상현탁경미
Issue Date
2022
Publisher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Keywords
Colluvial soil; Ground water movement; Landcreep; Weathered rock; 땅밀림; 붕적토; 산사태위험등급; 지하수 유동; 풍화암
Citation
농업생명과학연구, v.56, no.3, pp.67 - 76
Indexed
KCI
Journal Title
농업생명과학연구
Volume
56
Number
3
Start Page
67
End Page
76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178
ISSN
1598-5504
Abstract
본 연구는 경상남도 양산시 어곡터널 상단부 비탈면에서 발생한 땅밀림지의 지질, 지형,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땅밀림 피해방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상지는 2020년 8월 말 태풍 ‘마이삭’과 9월 태풍 ‘하이선’으로 인한 집중호우로 인한 발생한 땅밀림지이며, 항공사진을 통해 확인한 결과 2001년 항공사진에는 작업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013년에는 땅밀림 발생지 주변으로 계곡 및 산지침식의 발생으로 훼손지가 나타났다. 2015년에는 일부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되어 훼손면적은 줄었지만, 2020년 태풍으로 땅밀림이 발생하였다. 주 구성암석은 점질토가 다량 포함되고 풍화가 매우 깊이 진행된 퇴적암으로서, 붕적토 땅밀림으로 나타났으며, 땅밀림에 취약한 지질을 구성하고있는 지역이다. 땅밀림으로 붕괴된 지역의 산지 상단부는 평평한 지형으로 강우 시 빗물의 집수가 용이한 凹형 지형을 이루고 있어서 산지 하단부에지하수가 집수되어 땅밀림 붕괴를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추조사결과, 땅밀림이 발생한 풍화토, 붕적층과 풍화암층은 약 13.0∼24.5m 깊이의 범위로 땅밀림이 발생한 인장균열과 단차로부터 사면 하단부까지의 붕괴 높이와 유사하였다. 특히 풍화토는 암편과 점토질모래, 붕적층은자갈 섞인 실트질점토, 풍화암은 암편과 점토질모래로 구성되어 땅밀림에 취약한 지질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하수 유동은 남서방향과남쪽방향으로 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의 유동방향과 땅밀림으로 붕괴된 방향과 일치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Park, Jae Hyeon photo

Park, Jae Hyeon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