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 잠재혼합된 부당피해 경험의 GMM에 따른 CARET: 인권 및 참여활동 중심으로A Study on Adolescents’ Experience on the Potential Mixed Unjust Damage by Using CARET and GMM-Focusing on human rights and participatory activities
- Other Titles
- A Study on Adolescents’ Experience on the Potential Mixed Unjust Damage by Using CARET and GMM-Focusing on human rights and participatory activities
- Authors
- 박해선; 김현옥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 Keywords
- 청소년 부당피해 경험; Gaussian Mixture Modeling; CARET; 인권; 참여활동; unjust victim experience; Gaussian Mixture Modeling; CARET; human rights; participatory activities
- Citation
- 청소년복지연구, v.24, no.2, pp.147 - 174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청소년복지연구
- Volume
- 24
- Number
- 2
- Start Page
- 147
- End Page
- 174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150
- DOI
- 10.19034/KAYW.2022.24.2.07
- ISSN
- 1229-4705
- Abstract
- 본 연구는 부당피해경험 청소년의 특성요인과 관련한 분류예측 모형과 분류예측에 관여하는 인권요소와 참여활동요소의 변수 중요도를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다중대체법과 Gaussian Mixture Modeling(GMM), R의 CARET 분석도구를 활용하여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2017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MM을 통해 ‘피해경험높음’ 군집과 ‘피해경험낮음’ 군집으로 유형이 분류되었으며 ‘피해경험높음’ 군집은 가정과 학교, 사이버 공간, 근로 공간을 비롯한 청소년이 속했던 모든 공간에서 부당피해의 경험이 높은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검증결과 ‘피해경험높음’ 군집은 인권존중정도와 부모의 자녀의견존중, 학교존중, 자유보장, 사생활보호에서 유의미하게 낮고 사회참여경험과 인권정보제공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당피해 경험 청소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권요소와 참여활동 변수의 중요변수 1순위는 인권존중이 2순위는 부모의 자녀의사 존중, 3순위는 참여보장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사회복지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