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혼합분포된 청소년 신체건강행위에 대한 가족 내⋅외재적 요소의 가지경로 분석 -GMM과 Decision Tree모형중심 -Branch Path Analysis of Intrinsic and Extrinsic Family Factors for Mixed Distribution of Adolescent Physical Health - GMM and Decision Tree Model Center -

Other Titles
Branch Path Analysis of Intrinsic and Extrinsic Family Factors for Mixed Distribution of Adolescent Physical Health - GMM and Decision Tree Model Center -
Authors
김소형김현옥김경호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Keywords
adolescent; Physical heal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the family; care; decision tree; 청소년; 신체 건강; 가족내⋅외재적요소; 돌봄; 의사결정나무모형
Citation
한국가족복지학, v.69, no.2, pp 219 - 252
Pages
34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가족복지학
Volume
69
Number
2
Start Page
219
End Page
252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134
DOI
10.16975/kjfsw.69.2.7
ISSN
1598-6403
2713-7619
Abstract
본 연구는 잠재혼합된 청소년의 신체건강행위에 관여하는 가족 내재적⋅외재적 요소에 대한가지경로 분석을 통하여, 가족경계를 넘어 발달영역을 확장해 가는 청소년의 신체건강을 제고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혼합분포된 청소년의 신체건강행위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이에 적합한 가우시안믹스처모델(GMM)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가지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Decision Tree모형을 활용하였다. jamovi 및 R(ver.4.1.0)/R-studio 분석도구로 활용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 패널자료의 2차년도(2019년) 데이터 자료(중학교 1학년2,590명과 보호자 2,590)를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MM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신체건강행위에 대해서 잠재혼합된 두 개의 상이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건강행위 군집과 불건강행위 군집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두 군집에 대한 t 검정 결과, 건강행위 군집이 가족 외재적 요소인 청소년활동 및 교외동아리활동 그리고 가족내재적 요소인 어머니 근로여부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에 대해서 건강행위 군집과 불건강행위 군집을 분류하는 가지경로 분석을 하기 위하여 디시즌트리를 실시한 결과, 가족 외재적 요소인 친구관계와 교사관계가 긍정적이며, 가족 내재적요소인 어머니의 학력이 고학력일 경우 건강행위 군집으로 분류예측 되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사회복지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un Ok photo

Kim, Hyun Ok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