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및 유황 급이에 따른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체성분 변화Changes in Body Composition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Fed Sulfur and Selenium
- Other Titles
- Changes in Body Composition of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Larvae Fed Sulfur and Selenium
- Authors
- 박철진; 강호인; 김삼웅; 방규호; 김태완; 김현욱; 김일석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생명과학회
- Keywords
- Amino acid; fatty acid; larvae; mineral component; Protaetia brevitarsis
- Citation
- 생명과학회지, v.32, no.6, pp.455 - 46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생명과학회지
- Volume
- 32
- Number
- 6
- Start Page
- 455
- End Page
- 46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132
- ISSN
- 1225-9918
- Abstract
- 본 연구는 유황 및 셀레니움을 급이하였을 때 굼벵이 체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일반성분 중에서 단백질의 증가는 황 급이구에서 나타난 반면에, 지방산 증가는 셀레니움 및 황/셀레니움 급이구에서 보였다. 구조아미노산은 대조구에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상승되는 경향성을 보였지만, 아미노산 중에서는 특이적으로 변화가 유발되는 것은 관찰되지 않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셀레니움 및 황/셀레니움 급이구에서 증가되었다. 비필수아미노산 중 GABA, Pro가 황/셀레니움 급이구에서 증가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의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Met, Trp, Val이 셀레니움 및 황/셀레니움 그룹에서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지방산은 황/셀레니움 급이구에서 monounsaturated fatty acid가 감소한 반면에, saturate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가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특히, oleic acid가 전혀 검출되지 않은 반면에, palmitic acid, palmitoleic acid, linoleic acid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황 및 셀레니움의 급이에 따른 체 성분 변화를 관찰해 본 결과, 황/셀레니움 급이구는 체 성분의 급격한 변화가 유발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변화 적절하게 조절하여 기능성을 강화한 굼벵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제의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축산과학부 > Journal Articles
- 농업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융합학부 > Journal Articles
- 자연과학대학 > De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