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기에 따른 배초향의 개화 및 화서 발달 특성Flowering and Inflorescenc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int Affected by Different Photoperiods
- Other Titles
- Flowering and Inflorescenc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int Affected by Different Photoperiods
- Authors
- 황희성; 정현우; 황승재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 Keywords
- 생식생장; 생육상 전환; 양적 단일식물; 엽면적; 영양생장; facultative quantitative short-day plant; leaf area; reproductive growth; transition of growth phase; vegetative growth
- Citation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31, no.3, pp.188 - 19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Volume
- 31
- Number
- 3
- Start Page
- 188
- End Page
- 19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122
- ISSN
- 1229-4675
- Abstract
- 배초향은 잎을 식용으로 이용하는 작물로 영양생장을 유지 하여 잎의 품질과 수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작물의 생장이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전환될 경우 잎의 발달이 저하되어 상품성이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주기에 따른 배초향 식물의 개화 특성 및 화서 발달을 조사하여 잎 생산을 위한 적정 광주기를 선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배초향 종자를 2021년 11월 29일에 105구 트레이에 파종하여 본엽이 4 매 발생한 배초향 식물체를 2021년 12월 27일에 각각 포트에 정식하였다. 정식 후 명기/암기 시간을 10/14hrs, 12/12hrs, 14/10hrs, 16/8hrs로 조절하여 처리하였다. 정식 19일 후 광주기가 짧았던 10/14hrs에서 첫 개화를 확인하였으며, 12/12hrs 에서 20일, 그 외 처리에서는 21일 이후 개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명주기가 암주기에 비해 짧을수록 화서의 발달이 증가하는 것을 통해 본 식물이 양적 단일식물의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배초향의 생육은 광주기가 길수록 엽장, 엽수, 지상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 엽면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주기를 14시간 이상으로 처리하는 것이 배초향의 엽채류로서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적합할 것으로 판단 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원예과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