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속성, 사용자만족, 신뢰,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 버스정보의 모바일앱 중심으로The Relationships among App Attribution, User satisfaction, Trus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cused on Mobile App of Bus Information
- Other Titles
- The Relationships among App Attribution, User satisfaction, Trus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Focused on Mobile App of Bus Information
- Authors
- 최명국; 신재익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 Keywords
- 앱속성; 사용자만족; 신뢰; 지속적 사용의도; 모바일앱; App attribution; User satisfaction; Trust; Continuous use intention; Mobile app
- Citati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v.27, no.7, pp.165 - 175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Volume
- 27
- Number
- 7
- Start Page
- 165
- End Page
- 175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107
- DOI
- 10.9708/jksci.2022.27.07.165
- ISSN
- 1598-849X
- Abstract
- 본 논문의 목표는 버스 정보 모바일의 앱속성(유용성, 디자인, 정보품질, 이동성), 사용자만족, 신뢰, 지속적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AMOS 21.0의구조방정식이 사용되었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용성, 디자인, 정보품질 및 이동성이사용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동성만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고 나머지 유용성, 디자인, 정보품질이 유의수준 5%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자만족이 신뢰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뢰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버스 정보 모바일앱의특성이 사용자만족, 신뢰, 지속적 사용의도 등의 개선을 위한 중요한 영향요인임이 확되었으며, 특히이동성이 다른 앱 특성요인보다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방정부와 버스회사는 버스 정보 모바일앱의 활성화 위한 전략적 방향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다소 부족함이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이 부분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스마트유통물류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