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정신장애인에 대한 친숙함과 공감이 옹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현병과 알코올중독 간 다중집단분석Effect of Familiarity and Empathy with Mental Illness on the Advocacy Attitude: Multiple-Group Path Analysis between Schizophrenia and Alcoholic

Other Titles
Effect of Familiarity and Empathy with Mental Illness on the Advocacy Attitude: Multiple-Group Path Analysis between Schizophrenia and Alcoholic
Authors
정가영김미경서미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Keywords
정신장애; 친숙함; 공감; 옹호 태도; 사회복지; Mental Illness; Familiarity; Empathy; Advocacy Attitude; Social Welfare
Citation
사회과학연구, v.33, no.3, pp.17 - 40
Indexed
KCI
Journal Title
사회과학연구
Volume
33
Number
3
Start Page
17
End Page
40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098
ISSN
1976-2984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정신장애에 대한 친숙함이 공감을 매개로 옹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신장애인에 대한 옹호 태도를 향상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대표적인 만성정신장애인 조현병과 알코올중독의 모의 사례 중 하나를 무작위로 제시하여 해당 모의 사례에 대한 친숙함, 공감, 옹호 태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친숙함은 공감을 매개로 옹호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둘째, 정신장애 유형에 따른 친숙함과 공감, 옹호 태도에 대한 경로는 차이가 있었다. 즉, 조현병의 경우 친숙함과 옹호 태도와의 관계를 공감이 완전 매개 하였으나, 알코올중독의 경우 친숙함이 공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아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사회복지 전공 교육과정에 공감에 대한 교육과 훈련, 정신장애 유형에 따른 전략을 제언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사회복지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Seo, Mi Kyong photo

Seo, Mi Kyong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