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공기업 내부감사기능이 경영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상임감사직무수행실적 비계량평가지표를 중심으로Internal Auditor Quality and Operating Efficiency in Public Enterprises:Focus on the Evaluation of Internal Audit Performance

Other Titles
Internal Auditor Quality and Operating Efficiency in Public Enterprises:Focus on the Evaluation of Internal Audit Performance
Authors
유순미장지경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관리회계학회
Keywords
공기업; 감사경영실적; 전문성; 윤리성과 독립성; 내부통제기능; 경영효율성; public enterprises; internal audit; evaluation of internal audit performance; professionalism; ethics and independence; and internal control; operating efficiency
Citation
관리회계연구, v.22, no.2, pp 59 - 78
Pages
20
Indexed
KCI
Journal Title
관리회계연구
Volume
22
Number
2
Start Page
59
End Page
78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064
DOI
10.31507/KJMAR.2022.8.22.2.59
ISSN
1598-978X
Abstract
[연구목적]공기업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커지고 경영에 대한 투명성이 확대되면서 공기업의 내부감사기능이 실질적으로 모니터링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해 국민적 관심이 크다. 본 연구는 기획재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상임감사 직무수행실적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내부감사기능이 경영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상임감사의 경영실적, 전문성, 윤리성·독립성 및 내부통제기능강화 점수가 높을수록 DEA로 측정한 포괄적 경영효율성이 증가하는 지를 살펴본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상임감사 경영실적이 높을수록, 감사의 윤리성 및 독립성이 높을수록, 내부통제기능강화 점수가 높을수록 경영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내부감사의 독립성이 높고, 내부통제기능이 원활할수록 기업의 부정과 오류를 적기에 시정하고 예산낭비를 효과적으로 통제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해져서 결과적으로 경영효율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상임감사 직무수행실적의 평가결과와 세부지표별로 이들이 직접적으로 공기업의 경영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직무수행실적 평가결과를 활용하여 공기업 내부감사기능의 실효성을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회계세무학부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Yu, Soon Mi photo

Yu, Soon Mi
경영대학 (회계세무학부)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