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 주의군 대학생을 위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을 적용한 대사증후군 예방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Development and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risk of Metabolic Syndrome
- Other Titles
- Development and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Prevention Program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for University Students with risk of Metabolic Syndrome
- Authors
- 배연숙; 최소영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자료분석학회
- Keywords
- 대사증후군; 대학생; 참여형 개선기법; 자기효능감; 생활습관.; Metabolic syndrom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Self-Efficacy; Lifestyle.
- Citatio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24, no.4, pp.1431 - 145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Volume
- 24
- Number
- 4
- Start Page
- 1431
- End Page
- 145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056
- DOI
- 10.37727/jkdas.2022.24.4.1431
- ISSN
- 1229-2354
- Abstract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주의군 대학생을 위한 참여형 개선기법을 적용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설계를 이용하여 2021년 9월 6일부터 10월 29일까지 총 8주간 실시하였고, 면대면 중재를 마친 직후 첫 번째 사후조사를, 중재 종료 8주 후 두 번째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은 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으로 총 50명이었다. 실험군에게는 참여형 개선기법을 적용한 대사증후군 예방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면대면 중재 5주 60분, 모바일 중재 3주 20분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주의군 대학생의 생활습관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F=266.84, <.001), 자기효능감 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15.64, <.001). 대사증후군 생리적 지표인 중성지방(TG)(z=-3.70, < .001), 허리둘레(z=-1.73, =.084), 수축기혈압(z=-0.65, =.514), 이완기혈압(z=-0.90, =.368), 공복 혈당(z=-1.31, =.192), 고밀도 콜레스테롤(z=-0.08, =.938)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대사증후군 주의군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고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대사증후군을 예방을 위해 참여형 개선기법을 적용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활용을 제언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간호대학 > Department of Nursing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