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엽록소(Chlorophyll)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색에 관한 연구A Study on Natural Dyeing Using Chlorophyll Extract

Other Titles
A Study on Natural Dyeing Using Chlorophyll Extract
Authors
조현정조윤진최주현
Issue Date
2022
Publisher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Keywords
Chlorophyll; Natural Dyeing; Silk; Mulberry Dyeing; Kudzu Dyeing; Artemisia Dyeing; 엽록소; 천연 염색; 실크; 뽕 염색; 칡 염색; 쑥 염색
Citation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6, no.8, pp.1492 - 1501
Indexed
KCI
Journal Title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ume
6
Number
8
Start Page
1492
End Page
1501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028
DOI
10.33097/JNCTA.2022.06.08.1492
ISSN
2508-8270
Abstract
환경과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윤리적 소비가 중요한 가치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 로운 천연 염색 소재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 식물인 뽕잎, 칡잎, 쑥 염재 의 실크에 대한 염색성과 기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녹색 계열 천연 염색의 다양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리(Cu)매염 전후 실크 직물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무매염의 뽕잎이 pH 4에서 가장 높은 K/S 수치를 나타냈고 쑥이 pH 8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후매염일 때 가장 높은 K/S값은 염색 온도 80℃의 뽕잎 염 색인 경우였으며 가장 낮은 K/S값은 pH 8의 쑥 염색인 경우였다. 손세탁, 땀, 물 견뢰도 평가에서 평균 4등급 이 상으로 나타났으며 소취성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염색에서 녹색 계열 단일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천연 염색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건설환경공과대학 > 텍스타일디자인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Choi, Ju Hyun photo

Choi, Ju Hyun
건설환경공과대학 (텍스타일디자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