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차 교육과정 이후 시도된 통합과 주제 중심 고등학교 경제교육과정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ed in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After the Era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 Other Titles
-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ed in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After the Era of the 6th National Curriculum
- Authors
- 김경모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경제교육학회
- Keywords
- [Common Social Studies]; [High School Social Studies] of 2007 and 2009 curriculum revision era; [Integrated Social Studies]; Topic or issue-oriented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hematic strands; [공통사회]; 2007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 [통합사회]; 주제 혹은 문제 중심 경제교육과정; 주제 스트랜드
- Citation
- 경제교육연구, v.29, no.2, pp.29 - 5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경제교육연구
- Volume
- 29
- Number
- 2
- Start Page
- 29
- End Page
- 5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2013
- DOI
- 10.37060/KJEE.29.2.2
- ISSN
- 1226-7805
- Abstract
- 제6차 교육과정의 [공통사회],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사회]에서는 고등학교 경제교육에서 전형적인 경제학의 개념 중심이 아닌 경제교육과정이 시도된 바 있다. 주제, 문제 혹은 쟁점 중심 경제교육과정으로 불릴 수 있는 이러한 시도들은 범 사회과 혹은 사회과 더 좁게는 일반사회 내의 통합을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 이들 네 가지 경제교육과정을 하나의 범주로 묶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 배경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경제 관련 내용의 분석에 기초해서 이들 네 가지 고등학교 경제교육과정에 대한 경제교육적인 의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경제학의 개념이 강조되지 않은 형태의 경제교육과정, 혹은 통합지향적인 주제 중심 경제교육과정으로서 이들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일반사회교육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