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공간구조별 열 집중지역에 대한 공간해석 연구A Study on the Spatial Interpretation of Heat-Concentrated areas according to Urban Spatial Structure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Spatial Interpretation of Heat-Concentrated areas according to Urban Spatial Structure
- Authors
- 박진이; 서민송; 유환희; 이달근; 이준우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대한공간정보학회
- Keywords
- 열집중지역; 도시공간구조해석; 폭염상황대비; 열집중영향요인; Heat-Concentrated Area; Structural Analysis of Urban Spatial; Preparation for Heat Wave; Factors Influencing Heat-Concentration
- Citation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30, no.3, pp.25 - 35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Volume
- 30
- Number
- 3
- Start Page
- 25
- End Page
- 35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955
- ISSN
- 1598-2955
- Abstract
- 전 지구 평균 온난화보다 빠른 속도를 보이는 우리나라는 최근 폭염일수가 31.5일로 급증하고 2020년에는 97년 만에 가장 더운 1월을 경험하였다. 집약적인 도시개발로 인해 도시의 미기상을 변화시킴에 따라 도시공간 내 열이 집중되는 것에 대한 사전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LCZ를 기준으로 도시공간구조를 분류하고 그에 따라 공간자기상관성분석을 수행하여 도시공간 내 열이 집중되는 지역을 추출하였다. 또한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인공구조물 중 건축물을 기준으로 열 집중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공간분석 및 공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CZ 3과 LCZ 10에서 평균 26℃ 이상의 열이 집중되고 있었으며 행정구역dc 체계를 기준으로 중구와 남구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건축물의 속성정보를 활용하여 열이 집중되는 지역과의 상관분석을 수행한 결과 주로 단층의 단독주택이 좁은 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LCZ 3에서 건축물의 포장형태간의 다소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인자들을 활용하여 다각적인 공간해석을 수행한다면 폭염 대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실용적이고 사전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공과대학 > 도시공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