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테크놀로지 리더십의 매개효과Mediating Effects of Technology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Technology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Other Titles
- Mediating Effects of Technology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stress and Technology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Authors
- 박선미; 김종훈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산학기술학회
- Keywords
- Technostress; Technology Self-efficacy; Technology Leadership; Early Childhood Teachers; Mediating Effects
- Citation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23, no.9, pp.440 - 44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Volume
- 23
- Number
- 9
- Start Page
- 440
- End Page
- 44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927
- ISSN
- 1975-4701
- Abstract
- 본 논문은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 테크놀로지 리더십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05명이었고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4.0을이용하여 기술통계와 독립표본 t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매개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테크노스트레스와 테크놀로지 리더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그리고 10년 이상의 경력보다 10년 미만 경력교사가 더 높게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은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테크노스트레스와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테크놀로지 리더십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테크노스트레스는 테크놀로지 리더십과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테크노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테크놀로지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테크놀로지 리더십이 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높이기 위해 테크놀로지 리더십을 함양시키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과학대학 > 아동가족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