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 학부모 단체활동과 학교생활 파악 활동을 중심으로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ing: Focusing on Parent Group Activities and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School Lives
- Other Titles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ing: Focusing on Parent Group Activities and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School Lives
- Authors
- 주영효; 전하람; 황영식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교육정치학회
- Keywords
-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교육적 관여; 한국교육종단조사;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ing; Parental involvement; KELS
- Citation
- 교육정치학연구, v.29, no.3, pp.83 - 112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교육정치학연구
- Volume
- 29
- Number
- 3
- Start Page
- 83
- End Page
- 112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908
- DOI
- 10.52183/KSPE.2022.29.3.83
- ISSN
- 1226-7856
- Abstract
-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조사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 분석을 통한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영향 요인을 학생 및 학부모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으로 구분하여 다층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학부모의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질적인 지원은 높은 자녀의 학교교육 참여 수준으로 이어지며, 가정 내·외에 존재하는 사회자본 역시 높은 수준의 학교교육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② 사교육비의 증가는 수업참관을 제외한 학부모 단체활동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학교파악과 관련된 학교교육 참여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③ 자녀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의 단체활동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학교파악과 관련된 학교교육 참여에는 유의하지 않거나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④ 학교 요인은 학부모의 학교 파악 관련 대부분의 변수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지 않지만, 학부모의 단체활동과 관련된 변인의 경우 읍면지역에서 단체가입 및 수업참관의 수준이 높았고, 혁신학교에서 단체가입 및 자원봉사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가정배경을 고려한 맞춤형 학부모 학교교육 정책 입안과 집행 필요, 혁신학교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활성화 정책 개선 필요, 중소도시와 대도시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 제고 정책 및 단위 학교 수준의 노력 제고 필요 등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사범대학 > Department of Education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