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운동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운동행위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대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중심으로The Influence of Worker’s Exercise Self-Efficacy, Self Determination, Exercise Behavior On Wellness :Focusing Large-scale Workplace Workers
- Other Titles
- The Influence of Worker’s Exercise Self-Efficacy, Self Determination, Exercise Behavior On Wellness :Focusing Large-scale Workplace Workers
- Authors
- 하영미; 양승경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 Keywords
- Wellness; Self efficacy; Self determination; Exercise behavior; Worker; 웰니스;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운동행위; 근로자
- Citation
- 디지털융복합연구, v.17, no.2, pp 207 - 216
- Pages
- 1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디지털융복합연구
- Volume
- 17
- Number
- 2
- Start Page
- 207
- End Page
- 216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10532
- DOI
- 10.14400/JDC.2019.17.2.207
- ISSN
- 2713-6434
2713-6442
- Abstract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1000명 이상 근로자가 근무하는 대규모 사업장 2곳에서 근로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자의 웰니스는 운동 자기효능감(r=.23, p<.05), 자율적 동기(r=.38, p<.001), 운동행위(r=.61, p<.001)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근로자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 자기효능감(β=.34, p<.001), 운동행위(β=.30,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23, p<.001), 주관적 경제상태(β=-.13, p=.016)로, 이들의 설명력은 57.3%(F=39.29,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해서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간호대학 > Department of Nursing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