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제주도 북촌의 인공어초해역에서 어류 분포와 어초와의 관계Fishes distribution and their connection to artificial reefs off Bukchon, Jeju Is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Other Titles
- Fishes distribution and their connection to artificial reefs off Bukchon, Jeju Is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Authors
- 강명희; 리나 파야리안티; 정봉규; 윤은아; 민은비; 이경훈; 오우석; 박근창; 신영재; 최용석; 이병호; 황두진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 Keywords
- Artificial reefs; Echosound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eju; 인공어초; 과학어군탐지기: 지리정보시스템; 제주도
- Citation
- 수산해양기술연구, v.55, no.2, pp.121 - 128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수산해양기술연구
- Volume
- 55
- Number
- 2
- Start Page
- 121
- End Page
- 128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0370
- DOI
- 10.3796/KSFOT.2019.55.2.121
- ISSN
- 2671-9940
- Abstract
- 인공어초의 지리정보를 토대로 어초의 다양한 속성을 가시화하여, 인공어초는 콘크리트로 형성된 어초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숫자도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철제만으로 이루어진 어초와 철제와 사석으로 만들어진 어초의 체적이 다른 재질의 어초보다 상당히 큰 것을 알 수 있다. 6월 늦은 오후에 탐지된 어군이 보다 연안쪽 특히 연안으로 부터 두번째 트랜섹트 라인에 큰 어군이 관찰되었다. 인공어초해역에서 어류 전체의 수직분포는 4월에서 평균 NASC는 31.6 m2/nmi2이고, 6월에서 평균 NASC는 61.3 m2/nmi2으로 4월보다 6월에 높은 값을 보였다. 6월 아침에 탐지된 어군과 가장 가까운 어초와의 거리는 750~3250 m까지의 넓은 범위를 차지하였다. 4월 오후에서 늦은 오후로 가면서 연안에서 가장 먼 트랜섹트 라인에 높은 NASC가 관찰되었다. 6월의 오전과 아침 둘다 조사해역 전반에 걸쳐서 균등한 분포를 보였다. 6월도 두번째 트랜섹트 라인에 높은 NASC값이 관찰되었다. 인공어초 영향권은 6월 아침에만 어초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NASC가 작아지는경향을 보였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해양과학대학 > Department of Maritime Police and Production System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