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해양환경에서의 수동형채집기(Passive Sampler)의 활용: 2. 현장노출시간 단축을 위한 개선법Application of Passive Sampling in Marine Environment: 2. Modified Method for Shortening of Deployment Time in a Field

Other Titles
Application of Passive Sampling in Marine Environment: 2. Modified Method for Shortening of Deployment Time in a Field
Authors
장유리이효진정해진김기범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해양학회
Keywords
수동형채집기; 물경계층; 자유용존상농도; 실행보정물질; 평형; Passive sampler; Water boundary layer; Freely dissolved and bioavailable concentration; Performance reference compounds; Equilibrium
Citation
바다, v.24, no.2, pp.249 - 265
Indexed
KCI
Journal Title
바다
Volume
24
Number
2
Start Page
249
End Page
2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0365
DOI
10.7850/jkso.2019.24.2.249
ISSN
1226-2978
Abstract
수동형채집기(passive sampler)는 해수나 퇴적물 내 공극수에서의 자유용존상 농도 (freely dissolved and bioavailable concentration, Cfree)를 쉽고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 중 하나이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보다 정확한 위해도 평가를 위해 해양환경모니터링에 수동형채집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추세이지만, 현장 적용 시 노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동형채집기의 생물부착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국내에서의 활용도는 매우 낮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하는 수동형채집기의 원리 및 기본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수동형채집기의 현장 적용을 위한 다양한 개선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국내에서의 수동형채집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해양과학대학 > Department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Gi Beum photo

Kim, Gi Beum
해양과학대학 (해양환경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