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투자가 우리나라 기술무역에 미치는 효과 분석open access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Korea's Technology Trade
- Other Titles
-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Korea's Technology Trade
- Authors
- 안경애; 김태영
- Issue Date
- 2019
- Publisher
- 한국유통경영학회
- Keywords
- Technology Trade; Technology balance of payments: Receipts; Technology balance of payments: Payments . R& D; Panel Spatial Autocorrelation Model(SAC); 기술무역; 기술수출; 기술도입; 연구개발투자; 패널 공간종속모형
- Citation
- 유통경영학회지, v.22, no.4, pp.153 - 160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유통경영학회지
- Volume
- 22
- Number
- 4
- Start Page
- 153
- End Page
- 160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0247
- DOI
- 10.17961/jdmr.22.4.201908.153
- ISSN
- 2384-0137
- Abstract
- 국가의 과학기술 수준은 경제력의 원천이 되며 과학기술 선진국은 글로벌 경제에서도 강대국의 위치를 확고히 만들 수 있으며,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기술의 발전 속도와 범위가 기존의 물리적 경계를 넘어 재화와 서비스에 첨단기술이 접목되어 물리적 자산보다 기술과 관련한 무형자산이 미래 경제사회에서 는 그 중요성이 더욱 확대될 것이다. 이는 그동안 한국경제에서 무역이 경제성장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 왔던 발전과정에서 기존의 재화와 서비스 중심의 무역에서 더 나아가 첨단기술과 결합한 재화와 서비스의 고부가가치화와 더불어 핵심 첨단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을 통한 기술무역의 확대가 국가 경쟁력 확보의 필수가 되는 시대변화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OECD에서 제공하는 각 국의 기술무역 통계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기술무역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R&D투자는 기술수출과 기술수입에 모두 양(+)의 영향을 미치며 기술수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R&D 투자에 대한 직·간접효과에서 기술수출모형에서 R&D 투자 1% 증가는 는 직접적으로 해당국가의 기술수출을 0.722%만큼 증가, 머지 1.136%는 주변국의 R&D 투자변화에 의한 기술수출의 파급효과로 나타났으며, 수입모형에서는 직접효과가 0.513%, 간접효과 0.097%로 나타났다. 이는 주변국의 R&D 투자로 인한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간접효과를 고려하여 기술무역의 확대를 위해 주변국가와의 교류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주변국의 기술무역 확대가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거대 자금이 투입되는 연구개발의 투자에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공동 연구개발의 투자는 국가 상호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식품자원경제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