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의 평균초장 추정open accessEstimation of the Dimensions of Horticultural Products and the Mean Plant Height of Plug Seedlings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Other Titles
Estimation of the Dimensions of Horticultural Products and the Mean Plant Height of Plug Seedlings Using Three-Dimensional Images
Authors
장동화김현태김용현
Issue Date
2019
Publisher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Keywords
3D sensor; depth information; stereo vision; ToF camera; 깊이 정보; 3차원 센서; 스테레오비전; ToF 카메라
Citation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28, no.4, pp.358 - 365
Indexed
KCI
Journal Title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ume
28
Number
4
Start Page
358
End Page
365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0137
DOI
10.12791/KSBEC.2019.28.4.358
ISSN
1229-4675
Abstract
본 연구는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의 평균초장을 결정하고자 수행되었다. 3차원 영 상을 획득하고자 ToF 카메라와 스테레오비전 카메라를 사 용하였다. 본 연구의 3차원 영상 획득용 실험 재료로서 수 박, 사과, 배, 단호박, 오렌지의 원예산물과 수박, 토마토 및 고추 플러그묘를 사용하였다. 플러그묘의 평균 초장을 결정하는 지표로서 기존의 측정 기준 대신에 수정초장이 제시되었다. 스테레오비전 영상에 비해서 ToF 영상을 이 용한 경우에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의 평균초장 오 차가 작게 나타났다. 꼭지가 있는 원예산물을 제외할 경우 ToF 영상을 이용한 원예산물의 둘레와 높이의 오차는 각 각 0.0-3.0%, 0.0-4.7%로 나타났다. 또한, 플러그묘의 평균 초장에 대한 오차는 0.0-5.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서 3차원 영상을 이용한 원예산물의 크기와 플러그묘에 대한 초장 추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더구나, 본 연구 에서 시도된 방법은 3차원 영상으로부터 물체와 배경의 효과적인 분리, 이상치의 제거 등에 활용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농업생명과학대학 > 생물산업기계공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Hyeon Tae photo

Kim, Hyeon Tae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산업기계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