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FEM 해석에 의한 지반배수조건에 따른 지진 시 영일만항의 케이슨식 안벽 및 배후지의 거동 분석open accessBehavior Analysis on Earthquake-Induced Deformation of Quay Wall and Apron in Ground at Youngilman Port Considering Drainage Condition Using FEM Analysis

Other Titles
Behavior Analysis on Earthquake-Induced Deformation of Quay Wall and Apron in Ground at Youngilman Port Considering Drainage Condition Using FEM Analysis
Authors
이학주강기천황웅기이민선김태형
Issue Date
2019
Publisher
한국해안,해양공학회
Keywords
지진; 배수조건; 지진응답해석; 소산; 침하; earthquake; drained drainage condition; seismic response analysis; dissipation; settlement
Citation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v.31, no.6, pp.386 - 394
Indexed
KCI
Journal Title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Volume
31
Number
6
Start Page
386
End Page
394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0006
DOI
10.9765/KSCOE.2019.31.6.386
ISSN
1976-8192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17년 11월 15일에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으로 인하여 영일만항의 케이슨식 안 벽 및 배후지에서 지반내에 발생된 과잉간극수압으로 유발된 침하와 수평변위를 지반배수조건(즉 비배수조건과 배수 조건)에 따라 해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비배수조건에서 지진응답해석을 실시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배수조건 해석을 실시하여 지진 시 생기는 변위와 지진 이후에 과잉간극수압이 소산하면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변위의 결과를 산정하 였다. 지진 이후의 결과는 비배수조건의 해석에서는 알 수 없는 부분이다. 두 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지반배 수조건에 따라 구조물과 지반의 거동 차이를 분명하게 확인하였다. 특히 배수조건의 해석 결과에서 지진이후 과잉간 극수압 소산에 따른 추가적인 변위가 분명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지진응답해석에서 지반배수조건에 따른 두 해석결과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반과 구조물의 거동을 더 명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 는 배수조건에 대한 해석도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공과대학 >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ang, Gi Chun photo

Kang, Gi Chun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