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지역 초등학교 학교정원의 식재현황 및 개선방안Planting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School Garden in Elementary Schools, Jinju-City
- Other Titles
- Planting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School Garden in Elementary Schools, Jinju-City
- Authors
- 강미영; 주정운; 김소진; 김태운; 문현식; 허무룡
- Issue Date
- 2020
- Publisher
- 경상국립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Keywords
- Concordance; Ecological health; Meditation forest; School flower; School garden; School tree; 교목; 교화; 명상숲; 생태적 건강성; 일치율; 학교정원
- Citation
- 농업생명과학연구, v.54, no.5, pp.45 - 53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농업생명과학연구
- Volume
- 54
- Number
- 5
- Start Page
- 45
- End Page
- 53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7512
- DOI
- 10.14397/jals.2020.54.5.45
- ISSN
- 1598-5504
- Abstract
- 본 연구는 경남 진주시에 위치한 초등학교를 명상숲 조성학교와 일반학교로 구분하여 학교정원 내 식재현황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교정원을환경교육의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향후 학교정원 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학교정원 면적의 경우 명상숲 조성학교에서는 이반성초등학교, 일반학교는 진성초등학교가 녹지비율과 1인당 녹지면적이 가장 풍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정원 식물상은 명상숲 조성학교인봉래초의 41종에서 이반성초의 66종, 일반학교도 금성초의 29종에서 진성초의 68종으로 학교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명상숲 조성 시 식재된식물은 신안초의 10종에서 이반성초의 33종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학교정원에 식재된 식물과 교과서 언급 식물의 일치율은 일반학교가 명상숲 조성학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명상숲 조성 시 식재된 식물의 일치율은 22.7%에서 60%로 나타났다. 교목과 교화는 느티나무와 장미가 가장 많은 비율로지정되어 있었다. 생태적 건강 지수는 명상숲 조성학교가 평균 2.63점, 일반학교가 평균 2.08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명상숲 조성으로 인한 녹지면적과 종다양도 증가에 의한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원예과학부 > Journal Articles
-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