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도 노자산의 관속식물상The Vascular Plants of Nojasan(Mt.) of Geoje-do, Gyeongnam-do
- Other Titles
- The Vascular Plants of Nojasan(Mt.) of Geoje-do, Gyeongnam-do
- Authors
- 정명희; 문현식
- Issue Date
- 2021
- Publisher
- 한국도서(섬)학회
- Keywords
- 노자산; 관속식물상; 특산식물; 희귀식물;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Nojasan; vascular plants; endemic plants; rare plants;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 Citation
- 한국도서연구, v.33, no.2, pp.165 - 187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도서연구
- Volume
- 33
- Number
- 2
- Start Page
- 165
- End Page
- 187
- URI
-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5147
- DOI
- 10.26840/JKI.33.2.165
- ISSN
- 1738-1592
- Abstract
- 본 연구는 거제도 노자산의 소중한 식물자원과 자생지에 대한 합리적인 보호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9년 7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총 3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노자산의 관속식물상은 126과 390속 636종 5아종 67변종 14품종 등 총 71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로는 백양꽃, 변산바람꽃, 두메대극, 백운산원추리 등 29분류군이 관찰되었고, 특산율은 3.8%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는 멸종위기종에 왕벚나무(식재), 애기송이풀 등 2분류군, 위기종에 백운기름나물, 백양꽃, 대흥란, 갈매기난초 등 4분류군, 취약종에 느리미고사리, 백작약, 애기등, 두메대극 등 12분류군, 약관심종은 왜구실사리, 변산바람꽃, 수정난풀 등 6분류군으로 합계 24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희귀식물 중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생물 2급인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가 확인되었는데,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의 개체수는 각각 약 1,000개체, 500개체였다. 특히 대흥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노자산이 우리나라 최대 자생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43분류군이 관찰되었고,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도 각각 6.0%, 13.4%로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귀화도가 4등급이면서 귀화시기가 3기인 식물로 유럽점나도나물, 미국실새삼, 큰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사리, 큰김의털, 울산도깨비바늘, 서양금혼초, 만수국아재비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서양금혼초와 돼지풀은 자생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모니터링을 통한 주기적인 제거와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요구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으로 애기지네고사리, 애기등, 두메대극, 단풍박쥐나무, 애기송이풀, 갯취, 대흥란 등 8분류군, Ⅳ등급은 산꽃고사리삼, 남도현호색, 섬딸기, 비진도콩 등 14분류군, Ⅲ등급은 처녀이끼, 육박나무, 생달나무 등 37분류군, Ⅱ등급은 왜구실사리, 각시고사리, 백작약 등 22분류군, 1등급은 실고사리, 발풀고사리, 풀고사리 등 49분류군으로 총 1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분포 변화가 쉽게 나타나는 식물구계학적 가치가 있는 Ⅲ~Ⅴ등급은 모두 59분류군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노자산의 지리적, 기후적 특성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은 특산식물로 지리고들빼기, 갯취, 두메대극, 변산바람꽃 등 15분류군, 남방계 식물로 좀딱취, 나도밤나무, 남오미자 등 37분류군, 북방계 식물로 참쑥과 왜미나리아재비 2분류군, 합계 5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노자산은 12 ㎢인 조사면적에 비해 관속식물이 719분류군으로 식물다양성이 아주 풍부한 곳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 29분류군, 희귀식물 2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30분류군,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54분류군 등 생태적으로 중요한 식물들도 노자산에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생물 2급인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은 전국 최대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노자산의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노자산의 생육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특산․희귀식물 등의 자생지를 보호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농업생명과학대학 > 환경산림과학부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