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뉴스비평 교육이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뉴스미디어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Engaging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in Critical Analysis of News Articles: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n News Media Literacy

Other Titles
Engaging Pre-service Social Studies Teachers in Critical Analysis of News Articles: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n News Media Literacy
Authors
김영석
Issue Date
2021
Publisher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Keywords
사회과교육; 뉴스미디어교육; 뉴스미디어 리터러시; 교사교육; 뉴스비평교육; Social Studies Education; News Media Education; News Media Literacy; Teacher Education; News Article Critique
Citation
사회과교육연구, v.28, no.4, pp 47 - 62
Pages
16
Indexed
KCI
Journal Title
사회과교육연구
Volume
28
Number
4
Start Page
47
End Page
62
URI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4414
DOI
10.37409/RSSE.28.4.47
ISSN
1225-6838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편향적 뉴스미디어의 생산과 유통에 뉴스소비자의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비판적 뉴스소비역량을 기르기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우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비판적 뉴스 소비를 위해서는 뉴스미디어 생산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 맥락과 뉴스미디어가 뉴스소비자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았다. 이러한 능력은 '뉴스미디어 리터러시'로 개념화될 수 있는데, 뉴스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르기 위해서는 개인의 정치지식보다 뉴스미디어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더 중요하다는 기존 연구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손쉽고 간편하게 뉴스 기사의 편향성을 분석해볼 수 있는 HEAP 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사회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HEAP 모형에 따라 실제 뉴스기사를 분석하게 하였다. HEAP 모형에 따른 뉴스분석을 경험한 집단과 비교집단의 뉴스미디어 리터러시를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두 집단 간 평균 차이의 효과 크기는 중간 수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뉴스비평교육에 참여한 예비교사 모두가 짧은 시간 내에 HEAP 모형이 제시한 대로 뉴스분석을 마칠 수 있었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범대학 > 일반사회교육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Young Seog photo

Kim, Young Seog
사범대학 (일반사회교육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