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긴급대피소 최적 위치 분석open accessOptimal Location Identification for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using the Voronoi Diagram
- Other Titles
- Optimal Location Identification for Emergency Evacuation Shelters using the Voronoi Diagram
- Authors
- 이소영; 김도현; 주희선
- Issue Date
- 2022
- Publisher
- 한국방재학회
- Keywords
- 대피소 영향 권역; 수용 능력; 위치 선정; 보로노이 다이어그램; k-medoids 알고리즘; Shelter Impact Area; Capacity; Location Selection; Voronoi Diagram; k-medoids Algorithm
- Citation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22, no.1, pp 209 - 217
- Pages
- 9
- Indexed
- KCI
- Journal Title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Volume
- 22
- Number
- 1
- Start Page
- 209
- End Page
- 217
- URI
- https://scholarworks.gnu.ac.kr/handle/sw.gnu/2522
- DOI
- 10.9798/KOSHAM.2022.22.1.209
- ISSN
- 1738-2424
2287-6723
- Abstract
- 최근 한국의 지진 발생 빈도는 점점 높아지는 추세로 긴급대피소의 위치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단 경로를 찾거나 관할구역을 나누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되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긴급대피소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연구지역은 지진대가 위치한 양산시를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지진 발생 시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인근 긴급대피소로 대피한다는 가정하에 보로노이 다각형을 이용한 대피 시설 권역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기존의 지진 옥외 대피 시설 자료와 유동 인구 데이터를 토대로 연구지역의 대피 취약지를 살펴본 결과, 지역별로 편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급이 부족한 곳의 건물 위치 데이터와 긴급 대피 시설 간 거리를 가중치로 정량화하여 양산시 신규 대피소 위치를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총 7개의 대피소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새로운 대피 시설의 위치를 선정하고 효율적인 대피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Files in This Item
-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 공과대학 > 도시공학과 > Journal Articles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