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한자교육 및 인성교육을 위한 童蒙書 연구 - 『弟子規』의 내용과 현대적 가치를 중심으로A study on children’s learning materials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 Centering on contents and contemporary values of Dizigui

Other Titles
A study on children’s learning materials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 Centering on contents and contemporary values of Dizigui
Authors
한상덕
Issue Date
2016
Publisher
대한중국학회
Keywords
Dizigui; a book for children' s learning;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traditional culture; 弟子規; 童蒙書; 漢字敎育; 人性敎育; 傳統文化
Citation
중국학, no.56, pp.147 - 163
Indexed
KCI
Journal Title
중국학
Number
56
Start Page
147
End Page
163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6182
ISSN
1229-9618
Abstract
『弟子規』는 기초한자 교육 및 인성교육을 위한 童蒙書다. 그 중에서도 한자 학습보다는 윤리도덕교육에 더 큰 목적을 둔 책이라 할 수 있다. 책은 “總敍”를 포함하여 총 여덟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제는 셋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부모에 대한 효도와 長者에 대한 공경, 둘째는 사회생활과 처세의 방법, 셋째는 배움과 실천에 관한 내용이다. 대부분 孔子를 대표로 하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기본 도리와 처세법을 자세히 설명해 놓고 있다. 내용 중에는 21세기 현실생활과는 다소 부합되지 않는 낡은 사상과 행동지침이 포함되어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전통문화 창달과 인성교육에 유익한 교재라고 판단한 중국 교육계에서는 현재 『弟子規』 閱讀과 교육을 활발하게 전개시키고 있다. 중국의 ‘國學’ 열기와 함께 인성교재의 핵심으로 활용하고 있는 『弟子規』는 개인주의와 황금만능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의 아동들에게 전통문화를 이해시키고 바람직한 가치관과 인간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치밀한 분석은 우리나라에서 『四字小學』 등과 같은 교재로 한자 및 인성교육을 시키는데 있어서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인문대학 > 중어중문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Han, Sang Deak photo

Han, Sang Deak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