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ailed Information

Cited 0 time in webof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Metadata Downloads

거창⋅산청⋅함양 사건 유족운동의 전개과정: 유족의 상(喪)의 과정과 감정동학open accessThe Movement of the Bereaved Families of Geochang-Sancheong-Hamyang Massacre: The Mourning Method and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Bereaved Families

Other Titles
The Movement of the Bereaved Families of Geochang-Sancheong-Hamyang Massacre: The Mourning Method and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Bereaved Families
Authors
김명희
Issue Date
2019
Publisher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Keywords
거창⋅산청⋅함양 사건 유족운동; 부인과 시인의 정치; 유족의 상(喪)의 과정; 정치적유가족; 사회적 공감; 이행기 정의; The Movement of the Bereaved Families of Geochang- Sancheong-Hamyang Massacre; Politics of Denial and Recognition; Political Bereaved Families; Mourning Method of the Bereaved Families; Social Empathy; Transformative Justice
Citation
일감법학, no.42, pp.3 - 37
Indexed
KCI
Journal Title
일감법학
Number
42
Start Page
3
End Page
37
URI
https://scholarworks.bwise.kr/gnu/handle/sw.gnu/10537
DOI
10.35148/ilsilr.2019..42.3
ISSN
1975-9789
Abstract
이 연구는 거창⋅산청⋅함양 사건 유족운동의 전개과정을 유족과 국가, 유족과 언론, 유족과시민사회의 다양한 행위자들이 상호작용하며 수행하는 유족의 상(喪)의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은 사건의 진실에 대한 국가의 부인(denial) 행동을 시정하기 위한 유족들의 시인(recognition) 전략에 초점을 맞추었다. 유족들의 시인 전략은 1) 희생자의 묘비 건립과 추모(기념) 사업에 초점을 둔 사회적 인정 투쟁과 2) 명예 회복과 배상 입법에 초점을 둔 법적 인정 투쟁으로 구축되었다. 이 과정은 거창 유족회와 산청⋅함양 유족회가 사건의 진실에 대한 피해자의 권리와 사회적 공감을 확장하며 한국전쟁 민간인학살과거청산운동을 이끈 중요한 주체였다는 점을 입증한다.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과학대학 > 사회학과 > Journal Articles

qrcode

Items in ScholarWorks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Related Researcher

Researcher Kim, Myung Hee photo

Kim, Myung Hee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Read more

Altmetrics

Total Views & Downloads

BROWSE